서울청년주택  청년 위한 주거사다리 '청년안심주택 공공임' 입주자 모집


 

- 25개 단지총 528호 공급… 10.31.(공고, 11.7.()~11.9.(청약


만 19~39세 무주택 청년신혼부부 대상… 내년 3월 이후 순차적 입주 예정


올해부터 연 23회로 입주자 모집 확대… 주거 불안정 청년에게 우선입주권


시 청년에게 든든한 울타리 되어줄 청년안심주택 공급 지속 확대해 나갈 것


지하철 24호선 사당역, 8호선 문정역 등 역세권 편리한 입지에, 시세의 30~50% 수준으로 저렴하게 공급되는 청년안심주택 공공임대입주자 모집이 시작된다. 내달 청약에 최종 선정된 입주자는 오는 3월부터 순차적으로 입주하게 된다.

 

서울시는 청년안심주택 공공임대 부문시내 25개 단지, 528호 입주자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10.31.() 모집 공고하고, 11.7.()~11.9.() 3일간 서울주택도시공사 홈페이지(i-sh.co.kr)를 통해 온라인 청약을 진행한다.

 

청년안심주택은 민간과 공공이 협력하여 무주택 청년, 신혼부부 등의 주거 안정을 돕기 위해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한 곳을 중심으로 공급하는 임대주택으로 서울시는 올해 4, 청년주택 사업 추진체계를 전면 개편하는 청년안심주택 추진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시는 청년안심주택건립 시 용도지역 상향, 용적률 완화 등 혜택을 부여함으로써 확보되는 추가분을 기부채납 받아 임대주택(공공민간임대)으로 공급하고 있다. 공공임대SH선매입에 해당하는 공공임대SH공사가, ‘민간임대는 사업시행자가 직접 입주자 모집 및 대상자를 선정한다.

 

<19~39세 무주택 청년신혼부부 대상 시내 25개 단지, 528호 공급 예정>

이번 입주자 모집은 송파구 문정동 55-6 일원(153), 동작구 사당동 1044-1(22) 25개 단지, 528호가 공급될 예정으로 내달 청약 접수 후 내년 2월 발표하고, 최종 당첨된 입주자는 입주자격 확인 등을 거쳐 20243월 이후부터 입주하게 된다.

 

19~39세의 무주택자인 청년 또는 신혼부부 중에서 공공임대 주택의 경우, 본인과 부모 합산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 100%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에 신청할 수 있으며, 자세한 입주 자격은 모집공고문을 참고하면 된다.

구 분

입주자격

공공임대

19~39세 이하 무주택 대학생, 청년, (예비)신혼 부부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100%이하

민간 특별공급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120%이하

민간 일반공급

소득제한 없음

<청년안심주택 유형별 입주자격>

청년안심주택 입주자 모집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서울주택도시공사홈페이지(i-sh.co.kr) 또는 콜센터(1600-3456)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올해부터 연 23회로 입주자 모집 확대주거 불안정 청년에게 우선입주권>

서울시는 지난해까지 해마다 2차에 걸쳐 청년안심주택 입주자를 모집해 왔으나 청년신혼부부의 주거사다리역할을 더욱 충실히 해 줄 수 있도록 올해부터는 3차로 늘려 공급을 지속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올해 8월 이뤄진 제2차 청년안심주택(공공임대) 입주자 모집 시 총 241호 공급에 24,079명이 지원, 평균 경쟁률 99.9:1을 기록하기도 했다.

 

아울러 시는 실질적인 주거비 부담으로 작용하는 관리비를 절감하기 위해 올해부터 청년안심주택 주차장 유료 개방에서 비롯된 운영수익을 관리비 인하에 활용하고, 당초에는 불가능했던 입주자 차량 소유운행을 허용하여 편의 또한 높여주고 있다.

 

한편 이번 입주자 모집과 더불어 지역사회 약자와의 동행을 실현하고,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청년의 주거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자치구가 자체적으로 주거 문제를 해결해 주기 어려운 주거 불안정 청년에게 청년안심주택을 제공한다.


시는 자치구 내 아동복지시설 퇴소로 주거지가 필요한 청년, 수급 계층 및 저소득층을 추천받아 우선 입주권을 부여할 계획이다.


한병용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청년안심주택은 한 번 입주하면 최장 10년까지 살 수 있어 자산이 부족한 청년신혼부부의 주거사다리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취업, 주거 등으로 힘든 청년에게 든든한 울타리가 되어줄 청년안심주택 공급을 지속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첨부1

 

청년안심주택(공공임대) 공급 현황

청년안심주택 추진현황 ('23.10.20. 기준)

구 분

사업지(개소)

호수()

공공임대

민간임대

139

46,723

13,674

33,049

허 가

36

9,472

3,327

6,145

착 공

58

21,794

6,835

14,959

준 공

45

15,457

3,512

11,945


 


청년안심주택 준공 사업지 현황(호수) ('23.10.20. 기준)

연번

사업지

()

호수()

공공임대

민간임대

15,457

3,512

11,945

1

서대문구 충정로372-1 7

499

49

450

2

성동구 용답동 233-1

170

22

148

3

광진구 구의동 587-64

84

18

66

4

마포구 서교동 395-43 5

1121

199

922

5

강서구 등촌동 648-5

285

19

266

6

종로구 숭인동 207-32

238

31

207

7

동작구 노량진동 37-1 7

272

37

235

8

강서구 염창동 274-17

520

49

471

9

마포구 창전동 19-8 1

681

120

561

10

동대문구 휘경동 192-1

99

9

90

11

용산구 한강로22-350 66

1226

421

805

12

서초구 서초동 1502-12

280

68

212

13

강서구 화곡동 401-1

57

9

48

14

마포구 상수동 355-2 일원

95

27

68

15

중랑구 상봉동 109-34

83

6

77

16

강동구 천호동 458-3 7

225

50

175

17

강서구 화곡동 1170

533

87

446

18

중랑구 묵동 176-39 3

235

24

211

19

광진구 구의동 593-11

98

28

70

20

영등포구 도림동 250-20

99

18

81

21

노원구 공릉동 617-32필지

270

75

195

22

강서구 등촌동 671-1

252

53

199

23

강서구 화곡동 1073-11

82

15

67

24

도봉구 쌍문동 103-6 1

288

70

218

25

강남구 논현동 202-7

345

86

259

26

용산구 원효로1134

812

333

479

27

관악구 봉천동 854-3 2

201

31

170

28

도봉구 쌍문동 507-1

253

48

205

29

은평구 구산동 198-3 1

238

21

217

30

송파구 잠실동 208-4,9,17

298

88

210

31

광진구 중곡동 637-5일원

299

84

215

32

서대문구 남가좌동 269-1

124

15

109

33

은평구 대조동 2-9

977

347

630

34

영등포구 당산동245-5

624

131

493

35

동대문구 휘경동 281-1

582

80

502

36

강남구 논현동 278-4

298

38

260

37

광진구 구의동 587-62

70

18

52

38

강남구 역삼동 738-29

78

19

59

39

관악구 신림동 75-6 5

338

79

259

40

서초구 서초동 1365-8

411

122

289

41

영등포구 신길동 173-6

162

34

128

42

강남구 삼성동 140-35

299

82

217

43

강동구 성내동 87-1

900

264

636

44

송파구 잠실동 187-10

217

71

146

45

종로구 숭인동 240-1

139

17

122